[발행인칼럼] 일선 지도자가 제대로 가르쳐야 할 태권도정신
[발행인칼럼] 일선 지도자가 제대로 가르쳐야 할 태권도정신
  • 이기백
  • 승인 2019.07.07 14: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무릇, 태권도인에게 있어 태권도 정신은 반드시 갖춰야할 신념이자 덕목이요, 태권도 사범이 수련생에게 가르쳐야할 바른 인성 교육의 표본이다.

태(跆) 권(拳) 도(道)는 말 그대로 손발을 사용한 공방 기술의 발휘를 통해 삶의 올바른 길을 찾아가는 무예 스포츠이다. 이는 태권도 수련에서 정신적 요소가 배제되면 온전한 태권도가 될 수 없다는 의미이다.

태권도의 참다운 수련은 기술과 정신을 함께 연마할 때 비로소 완성된다. 그런데, 태권도 기술은 수련 의도나 목적에 따라 어렵지 않게 분류하여 가르칠 수 있지만 태권도 정신은 그 실체를 확인하기가 불분명하고 하위 개념으로 정리해 교육하는 것도 쉽지 않다.

과거 9개관으로 통칭되는 태권도 관장들은 어떤 정신적 가치를 중요하게 보느냐에 따라, 또 그 사회가 어떤 교육적 기대를 갖느냐에 따라 다른 태권도 정신을 주창해 왔다. 그들이 고안한 태권도 정신은 크게 기술적 차원과 심리적 차원, 그리고 윤리적 차원으로 나뉜다.

기술적 차원의 태권도 정신과 심리적 차원의 태권도 정신은 태권도 기술을 연마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인내심, 의지력, 협동심 등과 같은 정신이며, 윤리적 차원의 태권도 정신은 모범적 행동의 성품을 갖는 것을 뜻한다.

이들 태권도 정신 가운데 참된 의미의 태권도 정신은 윤리적 차원의 태권도 정신에 합치되는 정신일 것이다. 태권도 수련을 통해서 기른다고 하는 용기, 인내, 협동 등과 같은 정신도 결국 바람직한 방향으로 인도될 때 태권도 정신으로서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각 관의 관장들이 주창한 전통 태권도 정신은 크게 ‘자기가치’, ‘대인관계’, ‘사회정의’라는 세 차원의 인성으로 분류된다. ‘자기가치’는 내면을 바르게 가꾸는 자기조율 능력으로 예의, 정직, 용기, 인내, 책임, 백절불굴, 자신감, 열정 등과 같은 정신이다.

‘대인관계’는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는데 필요한 ‘관계조율’ 능력으로 협동, 배려, 용서, 신의, 존경, 공정 등과 같은 정신이고, ‘사회정의’는 공동체나 자연과 어울리는데 필요한 공익조율 능력으로 준법, 애국, 정의, 사랑, 평화, 홍익인간 등과 같은 정신에 해당된다.

따라서 각 관 관장들의 태권도 정신은 ‘자기조율’의 다른 이름인 ‘극기’, ‘관계조율’을 의미하는 ‘조화’, ‘공익조율’의 대명사라고 할 수 있는 ‘홍익’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정신은 21세기 인재상인 “자아를 극복하고 타인과 더불어 세상을 이롭게 하는 사람”과도 맥을 같이한다.

그렇다면 “나를 이기고 타인과 더불어 세상을 이롭게 하는” 극기, 조화, 홍익을 전통 태권도 정신을 대신하는 새로운 태권도 정신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어쩌면 그동안 주창해온 태권도 정신 대부분을 수렴하는 대표적인 태권도 정신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나를 이기는 것”은 자신을 제어할 수 있는 ‘극기’이고, “타인을 이롭게 하는 것”은 더불어 살아가는 의미의 ‘조화’이며, “세상을 이롭게 하는 것”은 널리 인간세계를 이롭게 한다는 의미의 ‘홍익’이다.

앞으로 전 세계를 망라한 일선 태권도장 지도자의 태권도 교육은 자아를 극복하고(극기), 타인자연과 더불어(조화) 좋은 사회를 만들어 가는 인간(홍익인간)을 기르는 방향으로 좌표가 정립되어지길 기대해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