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태권도 유네스코 남북 공동 등재 필연성
[기고] 태권도 유네스코 남북 공동 등재 필연성
  • 편집국
  • 승인 2024.02.12 1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일출 (동명대학교 석좌교수, 시스템스위즈덤코리아 대표이사)
김일출 (동명대학교 석좌교수, 시스템스위즈덤코리아 대표이사)
김일출 (동명대학교 석좌교수, 시스템스위즈덤코리아 대표이사)

2018년 11월 2일 북한의 수도 평양에서 ITF-WT 태권도 통합 및 발전 위한 합의서’가 양대 조직의 총재 서명 날인으로 체결되었다. 

ITF는 1966년, WT는 1973년 각각 대한민국 서울에서 설립된 태권도 국제기구다. ITF는 1972년 창립자 최홍희 총재의 캐나다 망명을 거쳐 1980년 북을 중심으로 재편되었고 현재는 오스트리아 비엔나에 그 본부를 두고 있다. 김운용 총재에 의해 설립된 WT는 서울에 있다. 

두 조직의 통합 합의서에 따라 그 해 12월 중국 우시에서 합의서 내용의 구체적인 실천을 위해 한 차례 회동하였으나 더 이상 통합의 물꼬를 트기 위한 노력은 적어도 표면상으로 별 진전이 없다. 통합 기구 설치 논의를 하기로 한 우시 회동은 별다른 구체적인 논의조차 이루어지지 않고 끝났다.

ITF-WT 통합 합의서 제 2조 4항에 “두 연맹은 남과 북이 태권도를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에 함께 등록하는데 적극 협력하기로 하였다.’고 명문화 하였다. 이 역시 두 조직간 구체적인 노력은 시작조차 되지 않았다. 다만 국기원을 중심으로 이를 기반으로 태권도의 유네스코 등재를 위한 활동이 전개되어 왔다. 지난 연말까지 국기원 내에 이를 위한 기구를 두었다. 공식적인 예산 지원과 조직 활동이 지난 해 연말 중단된 것으로 알려졌다. 

최재춘 전 대한태권도협회사무총장이 추진단장을 맡았고 캐나다 국적의 태권도 사범 정순천 ITF공보부위원장이 부단장으로 활동했다. 정순천 부단장의 임기는 지난 해 연말 종료되었다. 최재춘 단장 주도하의 별도 법인으로 계속 이어져 간다고 한다.

유네스코 등재 자격은 개별 국가가 갖는다. 당연히 남과 북의 두 국가가 나서야 하는 것이다. 남은 문화재청이 북은 민족문화보존국이 그 책임기관이다. 

태권도를 조금만 아는 사람들이라면 최초 태권도 국제기구는 ITF라는 것을 다 안다. 아직도 유럽국가 등에서는 ITF가 주류인 국가도 드물지만 존재한다. 대부분의 유럽 국가에서 현재의 WT산하 국가 협회 지도자들 역시 ITF로 태권도를 시작했다. ITF 태권도가 태권도의 원조다. 이를 부정하긴 어렵다. 

세계태권도연맹은 ITF보다 늦게 출발했지만 국제스포츠계의 공식 조직인 IOC에 먼저 입성했다. 당연히 지금 국제스포츠무대에서 태권도의 국가간 질서는 WT의 주관 하에 있다. 그렇다고 ITF의 국제적인 활동이 사라진 것은 아니다. 여전히 그 위세를 유지 발전시켜가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가 태권도를 유네스코에 등재하기 위해서는 기록유산이냐 무형유산이냐의 문제가 아니라 원래의 정통성을 가진 북한의 ITF와 태권도 발상지인 남에서 시작하여 오늘 날 세계스포츠계에서 태권도를 주도하고 있는 남한의 WT간 공동의 노력과 합의, 남과 북 두 정부간 합의가 선결되어야 하는 것이다. 

원래 한 뿌리인 남과 북의 태권도를 우리민족의 고유유산으로 세계인의 문화로 공식화 하기 위해서는 남과 북의 두 정부 당사자가 한 자리에 마주 앉아야 한다. 남북 갈등과 북한에 대한 미국과 유엔의 제제 국면에 이는 매우 의미 있는 기회다.

태권도 유네스코 등재를 위한 두 나라간 협의와 논의를 이어간다면 이를 통해 다시 남과 북이 화해와 협력을 위한 계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1950년 6.25 동족상잔의 비극을 딛고 우리민족의 하나된 세상을 열어가는 단초가 될 수도 있다. 유네스코 등재를 위한 남과 북의 태권도 정체성을 만들어 가는 과정을 통해 남과 북의 민족정체성 회복으로 나아가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태권도의 역사와 정통성과 정체성을 두고 여러 논쟁이 국내외적으로 계속되어 왔다. 

IOC 산하 WT 회원국은 214개 국가에 이른다. ITF 역시 약 150개 국가에 회원을 두고 있다. 태권도의 유래와 역사의 문제는 더 이상 우리 국내 만의 문제가 아니다. 대한민국이 태권도의 종주국이라면 당연히 태권도의 역사와 정체성을 정립하는 것은 우리에게 매우 중요하고 시급한 과제다. 

태권도의 유네스코 등재는 태권도가 가진 고유한 역사성으로 인해 남한과 북한의 합의와 공동노력 없이는 불가능하다. 역설적으로 남한과 북한이 함께 하나로 나설 수 있는 좋은 계기다. 더 늦기 전에 남북 당사자간 협의를 통해 이제까지의 민간 차원에서 이루어 온 노력과 성과를 책임 있는 남과 북의 정부기관간 합의로 이어가야 한다.

지난 달 25일 관훈클럽 정신영기금회관에서 ‘개성문화원’ 주최로 ‘문화유산 태권도’의 신년토론회가 열렸다. 

필자는 그 자리에서 축사를 통해 ‘신념의 객관화를 통한 보편성 획득’을 요청했다. 개개인이 가진 열정과 주관과 연구 결과와 자료 등을 이제는 객관화 하고 보편화 해야 한다. 이를 위한 노력을 이제는 대한민국 정부차원에서 전개하기를 바란다. 

남한과 북한 간에 합의를 이루어야 할 수 많은 과제가 있다. 그 중에 가장 달성 가능하고 국제사회가 요구하는 주제의 하나가 태권도의 보편적인 역사와 정체성을 정리하는 일 이다. 더 늦기 전에 문화재청에서 먼저 남한 내의 관점과 견해를 정리하여 대한민국의 국가문화유산으로서 체계화 하는 일이 우선이고 시급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